天眞菴聖地

바로가기메뉴
주메뉴바로가기
서브메뉴바로가기

유틸메뉴


주메뉴


서브메뉴

자료실

  • 기사자료실
  • 서식자료실
  • 천진암 백과
  • 천진암성지성가
  • 시복시성 추진
  • 천진암달력
  • E-book
성금 봉헌 안내시복시성 추진성지안내 조감도

본문내용

천진암성지성가
  1. 자료실
  2. 천진암성지성가
조선교구 설립자 성 정하상 순교가 다른 성가 듣기 :
<1981년 변기영 작사 작곡>
악보 보기

노랫말 풀이
  1. 정하상(丁夏祥 1795∼1839)
  2. 한국 천주교회 창립선조 정약종의 아들이며, 조선교구설립의 주역.

  3. 신유년(1801)
  4. 한국 천주교회 역사상 교회 창립선조들의 대부분이 순교하는 대박해 즉, 1785, 1791, 1795년의 박해에 이어 한국 천주교회 창립 선조 대부분이 순교하는 박해.

  5. 칼질바람
  6. 순교현장에서 희광이들이 신자들의 목을 치는 바람.

  7. 서소문
  8. 서울 서소문동에 있는 아현 고가도로와 의주로(독립문으로 가는 길)가 교차되는 지점에 있던 문으로 이 문밖 네거리에서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순교하였고 그 중 44명이 시성되었으며, 정약종은 이곳에서 1801년에, 정하상은 1839년에 같은 곳에서 순교하였다.

  9. 온 장안
  10. 서울 시내를 일컫는 말.

  11. 7살
  12. 아버지 정약종이 순교하였을 때, 아들 정하상은 7살이었다(즉 만6세).

  13. 검단산
  14. 정하상의 고향 마재 서남쪽에 있는 강 건너 큰 산. 이 큰 산 밑에 정약종, 정하상의 묘가 있었다.

  15. 두미여울
  16. 마재에서 검단산 기슭으로 가는 한강 상류, 지금은 팔당댐으로 막혀 있는 곳.

  17. 소내길
  18. 마재와 광주 분원 및 팔당댐 사이에 있던 큰 마을. 지금은 팔당댐 상류. 즉, 마재, 귀여리, 삼성리의 삼각지점 댐속에 매몰되었으며, 이 소내 마을에서는 5일에 한 번씩 장이 섰었다.

  19. 마재
  20. 정약종과 정하상의 고향. 현재는 남양주군 조안면 능내리. 멀어지네 정약종의 순교후 정하상은 큰집, 작은집으로부터 박대를 받으며, 고향을 떠나야 했다.

  21. 동지사
  22. 매년 동짓날을 전후해서 조선왕이 중국왕에게 인사차 보내던 사신단 이름.

  23. 연경
  24. 북경을 일컫는 말.

  25. 노복차림
  26. 정하상은 양반의 자손으로서, 북경 천주교회와 연락을 취하기 위하여 성을 갈고 이름을 바꾸어, 종의 신분을 자처하여 사신단을 수행하였었다.

  27. 무산 땅
  28. 함경도에 있는 귀양지. 아버지 정약종의 친구 조동섬 아오스딩이 이 무산에서 귀양살이 할 때, 정하상이 찾아가 약 3년 내외 동안 한문을 공부한 곳.

  29. 중원 벌
  30. 중국 만주벌판. 조선 사신단이 북경을 갈 때 지나가는 벌판.

  31. 팔주뢰
  32. 죄수의 두 팔을 뒤로 묶고 그 사이에 몽둥이 두 개를 넣어서 비트는 형벌. 대부분 뼈가 부러지거나, 휘고, 힘줄이 끊어지고 피투성이가 된다.

  33. 털바 톱질
  34. 머리털과 소꼬리털 등으로 꼬아 엮어서 굵은 밧줄을 만들어 죄수의 양 발목과 무릎을 묶고 그 사이에 털로 엮어서 꼬은 털밧줄을 넣어서 줄톱질을 하는 형벌, 살점이 떨어지고 힘줄이 끊어지며, 흰 뼈가 드러난다.

  35. 학춤
  36. 죄수의 두 팔을 뒤로 묶고 매달아 학의 모양이 되면, 몽둥이로 때리는 형벌.

  37. 희광이
  38. 일명 회자수라고도 하며, 형장에서 사람의 목을 자르는 사람.
우리나라천주교회창립사
천진암성지 소식지(2019년 1월호)
ebook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