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veluy 主敎와 Pierre Maubant 神父의 原文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라는 표현을 우리 선조들은 79위 시복(1925년) 전부터도 써 왔다. 이제 정약용 선생으로만 부르지 말고,[요한 정약용 선생]이라고, 강론을 비롯한 말과 글에서 모든 신부님들이 사용하기를 권하고 싶다. 정약용 선생 시복추진을 위해서다.
이미 103위 시성식 직후,1984년 5월 말에 작성되어, 주교회의 명의로 전국 본당과 기관에 보급한 시복 추진 후보자 명단에는 정약용,황사영, 강완숙, 등이 포함되어 있다. 신유년 추안(* 정약용과 이승훈 대질문초 기록)에서도, 이승훈 진사가 서울 수표동 이벽 자택에서 처남 정약용에게 세례를 주었으며(爲之), 정요한(丁若望)이라는 본명 기록도 나온다.
다불뤼 주교의 " 조선 순교자 비망록" 첫머리에서 밝히고 있는, 정약용 선생의 영세 사실과, 모방신부의 문헌 일부를 원문과 함께 옮겨서 소개한다.
Notes pour l'histoire des martyrs de Coree
* (Les documents dans lesquels nous avons puise la plupart des faits relatifs aux origines de la religion en Coree ont ete reunis par Tieng Jak iong dont il est parle souvent. Il fut nomme Jean au bapteme. Il eut part a presque toutes les affaires de la religion ab initio et etait parent ou ami de presque tous les principaux chefs. Homme distingue dans les lettres et les charges publiques, il eut la faiblesse d'abandonner la Religion, ce qui ne lui evita pas l'exil en 1801. Gracie plusieurs annees apres, il pratiqua avec ferveur, se livra longtemps a tous les exercices de la piete et d'une grande mortification exemplaire et mourut fort chretiennement. Il a laisse en outre quelques ecrits religieux. Nous n'avons fait que copier et relier ces notes malheureusement trop brieves, mais fort bien ecrites.),,, A.M.E. vol 4 (pp. 5-29) P. 1.
<飜譯文>
<朝鮮에 있어서 천주교의 起源에 관한 대부분의 사실을 우리가 얻어낸 자료들은 정약용에 의해 수집된 것이다. 정약용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이 글에서 자주 언급되는데, 그는 요한이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고, 조선 천주교에 관한 거의 모든 일에 있어서 처음부터 관계하였으며, 조선 천주교회의 거의 모든 지도자들과 인척이거나 친구 사이였다.정약용은 학문과 관직에 있어 뛰어난 인물이었으나,천주교를 저버리는 나약함을 보였음에도 불고하고, 1801년에 유배형을 면치 못했다. 수년 후에 赦免을 받고, 열심한 신앙생활을 하면서 신심행위와 모범적인 苦行의 실천에 오랫 동안 온 힘을 기울였으며, 지극히 천주교신자다운 모습을 보이며 죽었다. 또한 편으로 그는 조선 天主敎회에 관한 몇 가지 글을 남겼는데, 우리가 지금 여기 기록한 이 글의 내용은 대부분이 그의 기록들을 단지 옮겨 엮은 것에 불과할 뿐이다. 다만 그의 기록들은 대단히 잘 쓰여졌으나, 애석하게도 너무나 간결할 따름이다.>,,,
********************* * Tieng Jean, dit iak-iong, dit que la religion etait connue en Coree pres de 200 ans avant les conferences de Ni Pieki.,,.M.E. vol 4 (pp.5 -29) -P. 2.
번역문 <若鏞이라고 부르는 丁요한은, 말하기를, 李檗의 講學보다 200년 앞서 조선에는 이 종교(천주교)가 이미 알려져 있었다,,,,.>
***************************************
성 피에르 모방 신부의 문헌 중 한국천주교회 확립에 관한 부분 St. Pierre Maubant
聖 Maubant 신부(1803~1839)는 1836년에 조선에 최초로 들어온 프랑스선교사이며, 김대건, 최양업, 최과출, 3명의 15세 조선 소년들을 마카오 신학교로 보낼 때, 추천서를 쓴 신부인데, 그가 입국한 지 2년 정도가 지난 후에, 즉, 1838년 10월 3일에 龍仁 양지 공소에서 파리외방전교회 신학교 교장, Mr. Langlois신부에게 보낸 문헌에는 조선천주교회의 확립(l'etablissement)에 관한 매우 중요한 내용이 들어있어, 일부 발췌하여 옮겨본다.
역자 주: 이하 원문에서 대표자(un autre delegue) 란 이승훈을 말하며, "광"은 曠菴을 말한다.
Extrait d'une lettre de Mr Maubant miss. Ap. en Coree a Mr Langlois Superieur du Seminaire des Missions Etrangeres Yangtchi 3 Xbre 1838.
"[…]Nous avons pu cette annee nous procurer secretement des notes manuscrites sur l'etablissement de la Religion Chretinne en Coree.Elles differents peu de celles que j'avais composees d'apres la tradition orale,,,,,En 1720 la 58e annee du fameux Kanghi, un autre ambassadeur Coreen nomme Y eut une entrevue avec les Missres. de Pekin et recut d'eux des livres Chretinne qu‘il emporta en Coree. Un nomme Koang, qui recut le surnom de Jean, ayant lu ces livres, eut le bonneur de sentir et de gouter les verites qu’ils renfermaient. Il embrassa la religion Chretinne et de concert avec quelques autres proselytes il envoya en 1783 a Peking un autre delegue egalemant nomme Y, mais d\'une autre famille, pour prendre de plus amples informations sur cette religion sainte. Y s\'adressa aux Missres. fraincais et en fevrier 1784 fut baptise, sous le nom de Pierre[…]" 번역문: <금년에 우리는 조선에 그리스도교의 창립(l'etablissement)에 관하여, 말로만 듣던, 손으로 기록한 비망록을 비밀히 관리하도록, 받을 수가 있었는데, 口頭로 듣던 바와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내용은 이렇습니다. 즉, 1720년, 중국 年號로 저 유명한 강희 58년에, 북경에 다녀온 사신 이공(李公, 역자 주. 이이명:李?命)이 서양선교사들한테서 천주교 책들을 가지고 조선으로 돌아왔는데 […] 이 책들을 구해 읽은 광이라는 사람 (역자 주. 曠菴 李檗)은 후에 요한이라는 교명을 가진 분입니다. 이 사람이 천주교 교리에 同感하고 深醉한 나머지, 천주교를 전심으로 받아들였고(embrassa la religion chretien), […]광(광암)이라는 이 사람은 이 새 종교에 합류한 몇몇 改宗者들(proselytes)과 함께 힘을 합하여 (de concert), 1783년에 자기들의 또 다른 代表者(autre delegue) 한 사람을 북경에 파견하였는데, 이 대표자는 1784년 2월에 베드로라는 교명으로 세례를 받고 오게 되었습니다.”]
* 다불뤼 주교의, [조선순교자 비망록] 원본 제4권 표지 * 다불뤼 주교의, [조선순교자 비망록] 원본 제4권 첫머리 제 1면 * 다불뤼 주교의, [조선순교자 비망록] 원본 제4권 첫머리 제 2면 * 다불뤼 주교의 조선순교자 비망록 제4권 첫 머리 5면에서 정약용의 영세를 기록하여 주었다. * 모방 신부 문헌 <프랑스 선교사로서 조선에 최초로 입국하여, 김대건 소년 등을 마카오로 보낼 때 추천서를 쓴 조선 천주교회 단체가 이미 결성되어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 Msgr. Byon <다블뤼 주교의 朝鮮殉敎史 備忘錄 序文의 프랑스어 원문과 우리말 번역문:>
Daveluy 주교의 朝鮮殉敎史 備忘錄 序文의 위 우리말 번역문(김형래 교수 번역문)의 原文 Notes pour l'histoire des martyrs de Coree vol 4 (pp. 5 - 29) (Les documents dans lesquels nous avons puise la plupart des faits relatifs aux origines de la religion en Coree ont ete reunis par Tieng Jak iong dont il est parle souvent. Il fut nomme Jean au bapteme. Il eut part a presque toutes les affaires de la religion ab initio et etait parent ou ami de presque tous les principaux chefs. Homme distingue dans les lettres et les charges publiques, il eut la faiblesse d'abandonner la Religion, ce qui ne lui evita pas l'exil en 1801. Gracie plusieurs annees apres, il pratiqua avec ferveur, se livra longtemps a tous les exercices de la piete et d'une grande mortification exemplaire et mourut fort chretiennement. Il a laisse en outre quelques ecrits religieux. Nous n'avons fait que copier et relier ces notes malheureusement trop brieves, mais fort bien ecrites.)
L'instrument dont Dieu se servit pour donner le premier branle a la Religion dans le royaume de Coree fut Ni Pieki appele Tektso et surnomme par lui-meme Koang am. Pieki descendait de la famille des Ni des Kieng Tsiou et parmi ses ancetres qui etaient deja dans les dignites sous la dynastie Korie on comptait plusieurs membres distingues dans les lettres et par les dignites civiles qu'ils avaient obtenues. Depuis trois generations cette famille s'etait livre aux exercices militaires et avait occupe des charges importantes dans cette nouvelle carriere. Pieki naquit doue de mille belles qualites du corps et de l'esprit. Des l'enfance son pere voulut l'appliquer aux exercices de l'arc, de l'equitation et autres qui puissent lui faire obtenir les degres militaires; mais celui-ci s'y refusa constamment au point de dire que dut-il mourir il ne s'y livrerait pas. De la il perdit en partie l'affection de son pere qui l'appela Pieki voulant par la designer son caractere trop attache a ses idees. En grandissant Pieki devint d'une force et d'une stature enorme. Il avait une taille de huit pieds et d'une seule main pouvait enlever cent livres. Large et bien fait, son exterieur etait imposant et attirait naturellement tous les regards. Ses talents ne le cedaient pas a un exterieur si avantageux. Sa facilite de parole pouvait se comparer a l'ecoulement majestueux d'un fleuve et doue d'une intelligence superieure en tout il ne cherchait que la raison des choses et les vrais fondements de la doctrine. Partout il s'occupait a penetrer le fond des choses et dans l'etudes des livres sacres du pays, des sa jeunesse, il s'efforcait d'en saisir les sens profonds. De si heureuses dispositions lui permettaient personnellement un avenir brillant. Il se livra de bonne heure a l'etude des livres des plus fameux docteurs de ce temps et pour assurer le succes de ses travaux il chercha a se lier avec tous les gens instruits qui voulaient l'aider et le diriger dans la science. Se souciant peu des usages et de l'etiquette, il avait quelque chose de grand et eleve, mais aimait les paroles plaisantes, il n'eut jamais la noble dignite qui distingue les docteurs de profession(hak tsia). Tel nous est represente Pieki par les documents du temps.
C'etait en l'annee 1777(tieng iou). Le fameux docteur Kouen T'siel sini, accompagne de Tieng Jak Tsieni et plusieurs autres nobles studieux et amateurs de la science, se rendit dans une pagode pour s'y livrer ensemble a des etudes profondes. Ni Pieki l'ayant appris en fut rempli de joie et heureux de pouvoir profiter des lecons de ces hommes remarquables il prend de suite son parti d'aller les trouver. C'etait l'hiver. La neige couvrait partout les routes et la distance etait de plus de cent lys: mais de pareils obstacles etaient loin de pouvoir arreter ce cœur ardent et si avide de la science et de la sagesse. Il part de suite et a travers ces chemins difficiles et ardus il ne sent pas la fatigue. Le jour tombant ne peut le determiner a retarder la realisation de ses desirs et continuant sa route de nuit il parvient enfin a une pagode vers minuit. Quel n'est pas son desappointement en apprenant qu'il s'est trompe de pagode et qu'il fallait aller de l'autre cote de la montagne. Sans se decourager il pousse sa pointe. C'est une enorme montagne qu'il faut franchir de nuit. Elle est couverte de monceaux de neige et des tigres nombreux en defendent les abords. N'importe! Pieki fait lever tous les bonzes et se fait accompagner par eux. A la main il prend un baton ferre pour se defendre des attaques des sauvages ennemis et poursuivant sa route a travers les epaisses tenebres, il arriva enfin au lieu si desire. Une arrivee si etrange repandit la frayeur parmi les habitants de cet edifice isole et perdu dans le sein des montagnes. On ne pouvait se figurer quel motif amener a une heure si indue des hotes si nombreux: mais bientot tout s'etant eclairci, la joie le bonheur succederent a la crainte et dans les epanchements suggeres par une rencontre si heureuse on s'appercut a peine que deja le jour avait point. Pendant plus de dix jours que dura cette reunion, on approfondit toutes les questions sur le ciel, le monde, la nature humaine etc., tous les doutes et les opinions des anciens furent mis sur le tapis. De la on etudia les livres de morale des grands hommes; puis on en vint a examiner quelques livres philosophiques et mathematiques composes en chinois par les Europeens, et on mit tout le soin possible a les approfondir. Enfin les etudes et conferences se porterent sur quelques livres elementaires (D'ou venaient ces livres?) du christianisme. On ne sait au juste d'ou ces livres etaient venus. Ils avaient seulement alors entre les mains quelques traites sur l'existence et la providence de Dieu, sur la spiritualite et l'immortalite de l'ame et sur la maniere de regler ses mœurs en combattant les sept vices capitaux par les vertus contraires. Accoutumes aux doctrines obscures et confuses des livres chinois, ces hommes droits desireux de la verite n'eurent pas plutot examine les fondements de notre Sainte Religion qu'ils entrevirent tout ce qu'il y a de grand, de beau et de palpable dans cette doctrine; et sans pouvoir l'approfondir davantage, faute de livres, leurs cœurs furent aussitot emus et leurs yeux s'ouvrirent a la Foi. Tant il est vrai que la verite porte toujours avec soi son cachet. Sa lumiere brille toujours aux yeux de tous ceux qui la cherchent et tout cœur droit ne peut rester insensible aux impressions qu'elle depose comme un germe de bonheur. (Qu'il est beau et consolant de voir ces hommes qui dans leur pays marchaient a la tete de la science, parvenus a la connaissance de la verite) Voila donc nos amateurs de la sagesse imbus de la Religion et subjugues par l'evidence de ses fondements. Ils eussent desire se mettre de suite a la pratique de toutes ses regles: mais les livres qu'ils avaient entre les mains ne suffisant pas pour les diriger, ils durent se contenter de se prosterner tous les jours matin et soir pour se livrer a la meditation. Puis ayant vu quelque part qu'il y avait de sept en sept jours un jour consacre au Seigneur, tous les 7, 14, 21, 28 du mois ils cessaient toute affaire du monde pour penser aux exercices de l'ame et y faisaient abstinence. On ignore combien de temps ils continuerent ces exercices, mais ils les faisaient dans le plus grand secret sans en parler a aucun autre et il est probable par la suite des faits que la plupart du moins n'y furent longtemps exacts. Le cœur ardent de Pieki avait recu un germe fecond. Il sentait combien ce commencement etait peu de chose, et toutes ses pensees et toutes ses vues se portaient vers la Chine ou il esperait trouver les livres necessaires pour completer l'œuvre commencee. Plusieurs annees se passerent dans cette anxiete et les efforts qu'il fit pour parvenir a son but ne nous sont pas parvenus. Au commencement de l\'ete 1783, 15 de la 4eme lune trici mio, apres avoir ete a Matsai dans la famille Tieng, pour l'anniversaire de la mort de sa sœur, il monta sur un bateau avec les deux freres Tieng, Jak tsion et Jak iong pour se rendre a la capitale. Pendant le trajet les conversations et etudes philosophiques furent encore leur occupation. Apres avoir etudie quelques livres du pays, les esprits se porterent sur la doctrine des Europeens. Ils discuterent au long et en detail des dogmes de la creation du ciel, de la terre et de l'homme, puis de la spiritualite et de l'immortalite de l'ame et des peines et recompenses dans le ciel et l'enfer au siecle futur. Tous convinrent de la verite de ces dogmes et y ajoutaient foi, et tous les passagers qui entendaient pour la premiere fois ces verites si belles et si consolantes en etaient tout hors d'eux-memes et saisis de joie. Il n'est pas douteux que de pareilles conferences ne se soient renouvelees souvent vers ces epoques, et l'ardeur bouillante de Pieki ne sera pas restee dans le repos, mais les details ne nous en sont pas parvenus. (Ce qui est certain, c'est qu'alors la plupart des gens instruits avaient vu ou entendu parler des livres de science des Europeens, et souvent aussi des quelques livres de Religion qui etaient dans le royaume. C'etait a la mode de s'en occuper et on remarque que dans les compositions litteraires que chaque annee lors de l'ambassade a Peking les Coreens echangeant avec les Chinois on faisait souvent allusion a ces nouvelles sciences. On peut juger par la de la publicite qu'eurent ces premieres notions du christianisme, mais les livres alors existant ne donnaient pas la religion en details.) Dieu qui n'abandonne jamais ceux qui le cherchent dans la sincerite de leur cœur avait fixe cette annee pour permettre la realisation des vœux de quelques ames droites. Ce meme hiver 1783 Ni Tong ouki fut nomme troisieme ambassadeur a la cour de Peking, et son fils Sieng houni devait l'y suivre. C'est ici le lieu de faire connaitre cet homme remarquable qui pendant quelques annees va jouer un role si important dans cette histoire. Ni Sieng houni appele aussi Tsa siouri etait de la noble famille des Ni de Pieng t'sang. Ses ancetres remplirent souvent des charges assez importantes parmi les mandarins civils et sa maison jouissait d'une haute reputation. Il naquit en 1756(annee Pieng tsa). Des l'age de dix ans il passait pour capable dans les lettres et a peine fut-il arrive a 19 ou 20 qu'il avait dans tout le royaume la reputation de lettre distingue. Voulant marcher sur les traces des saints de ce pays, il se lia avec ce qu'il y avait de plus distingue par la science et la conduite et s'appliquait autant a regler ses mœurs qu'a se perfectionner dans les lettres. Il fit aussi connaissance avec Ni Pieki, et toutefois la diversite de leurs gouts, caracteres et etudes ne leur permit pas de vivre dans l'intimite. A l'age de 25 ans en l'annee 1780(kieng tsa) il obtint le premier degre de bachelier appele Tsin sa, et de toute part les regards se portaient sur lui. Ni Pieki ayant appris que Sieng houni devait suivre son pere a l'ambassade de Peking fut comble de joie et alla de suite le trouver. Voici d'apres les monuments de l'epoque le discours remarquable qu'il lui tint: "Ton voyage a Peking est une occasion admirable que le Ciel nous fournit de connaitre la vraie doctrine. La doctrine des saints, du service de l'Empereur Supreme Createur de toutes choses est au plus haut degre chez les Europeens. Sans cette doctrine nous ne pouvons rien. Sans elle on ne peut se regler le cœur et le caractere. Sans elle nous ne pouvons approfondir les principes des choses. Sans elle comment connaitre les differents devoirs des rois et du peuple? Sans elle point de regle fondamentale de la vie; sans elle la creation du ciel et de la terre, l'ordre physique des astres, leurs cours et revolutions regulieres, l'ordre des poles, etc. ne nous sont pas connus. La distinction des bons et mauvais esprits, l'origine et la fin de ce monde, l'union de l'esprit et du corps, la raison du bien et du mal, l'Incarnation du fils de Dieu pour la remission des peches, la recompense des bons dans le ciel et la punition des mechants dans l'enfer, etc. etc. etc. Sans la doctrine des Europeens tout cela nous reste entierement inconnu." A ces mots Seng houni qui n'avait pas encore vu les livres de religion fut emu de surprise et d'admiration. Il demande a voir quelqu'un de ces livres et ayant parcouru les traites de l'existence et des attributs de Dieu et le livre des sept vices capitaux combattus par sept vertus contraires, il fut ravi de bonheur et ne possedant pas de joie il demande a Pieki ce qu'il y avait a faire. Pieki continue en lui disant: "Puisque tu vas a Peking, c'est une marque que le Dieu Supreme a pitie de notre pays et veut le sauver. En descendant de voiture va de suite au temple du maitre du Ciel, confere avec les docteurs europeens, interroge-les sur tout, approfondis avec eux la doctrine, informe-toi en details de toute la pratique de la Religion et apporte-nous les livres necessaires. Va, la grande affaire de la vie et de la mort, la grande affaire de l'Eternite est entre tes mains. Va et surtout n'agis pas legerement." Seng houni ecouta d'un air soumis ces paroles de Pieki qui le penetraient profondement et les recevant comme la parole du Maitre, il promit de faire tous ses efforts pour realiser leurs communs desirs. En considerant le discours de Pieki il est facile de voir qu'il etait egalement altere de la soif des sciences et de la Religion, et le peu de mots qu'il prononca montrent que son intelligence avait deja compris la Religion comme la base du monde et des societes. On voit que cette grande affaire etait devenue pour lui la seule, l'unique necessaire. C'est aussi que la grace preparait deja cet homme a la grande œuvre qu'il allait bientot commencer en propageant le premier la semence de la Religion. <계속>
朝鮮天主敎會 殉敎者들의 歷史 (집필) 計劃
제목: 극동 또는 19세기 조선 왕국 주님의 증거자들 (혹은 그 어떤 제목도 좋음)
아직 제목은 정해지지 않았다. 책의 제명(題銘)은 Crux de Cruce로 한다. 십자가는 십자가에 의해 세워진다(는 뜻이다). 권두언으로는 Justorum animæ in manu Dei sunt(義人들의 영혼은 천주님의 손 안에 있도다.), 그리고 히브리서 11장 39절에 나오는 바오로 사도의 말씀 alii distenti sunt 등이 커다란 글씨로 자리잡는다. 헌정사는 포교성성 장관 추기경님께 바친다. 서론 부분에는 일본 전쟁(임진왜란) 시기의 몇몇 조선인 신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넣어야 하고, 조선에 천주교 서적들이 도입된 전말을 다루어야 하며, 끝에 가서는 생애 말년에 천주교를 처음 실천했고 분명 세례받지 못한 채, 李檗의 저 위대한 講學(les grandes conferences de Ni Pieki) 전에 세상을 떠난 홍유한의 생애에 대해 몇 마디 언급을 해야 할 것이다. 일본 전쟁(임진왜란) 때의 천주교 신자들에 관한 역사는 이곳에 없으며, 프랑스에서 교회 역사 기록들 속에서 그 편린을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이곳의 신자들은 앵베르 주교로부터 들었다면서, 당시에 차부제품 또는 부제품까지 오른 조선인이 한 사람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전승이 어디서 온 것인지 찾아보아야 한다. 천주교 서적들이 조선에 도입된 전말은 매우 불분명하며, 그에 관해 내가 찾을 수 있었던 것은 거의 없다. 근거 자료가 있다면 아마 몇몇 외교인 집안의 오랜 문헌들에서 찾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 작업은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이고, 신앙의 자유를 얻고 나서야 조금이라도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으로서는 외교인들에게서 많은 문서를 빌리기가 불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진정한 의미의 朝鮮天主敎會 歷史는 李檗의 저 講學으로부터 시작된다(L\\\'histoire proprement dite commence aux conferences de Ni Pieki,,,.) 그 이후의 일들에 대해서는 지극히 단편적으로만 알고 있으며, 우리 생각에, 이러한 공백들은 결코 메워지지 못할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탐구를 계속하고자 원한다면 조금씩 조금씩 무엇인가 얻게 될 것이다. 일부 명문 대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문서들, 그리고 특히 형조의 고문서들 속에서 뒤져보면 될 것이다. 이 두 가지 원천은 지금으로서는 우리가 접근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간혹 가다가 어떤 작은 조각을 얻을 수 있는 일도 무척 힘이 드는 것이지만, 장차 언젠가 천주교가 허락되게 되면 끈기있고 총기있는 연구들로부터 커다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분명 섭리에 의해 우리 후계자들에게 맡겨져 있다. 우리는 순교자들의 역사에 이 나라 역사와 풍속에 관한 자료들을 끼워 넣으라는 재촉을 사람들로부터 많이 받았다. 고백하건대 우리는 이 부분을 잘 알지도 못할 뿐더러, 완전히 별도의 작업을 요하게 될 그러한 일을 수행할 시간도 수단도 우리에게는 없다. 한 나라의 풍속은 눈과 귀를 통해 익히는 것인데, 이 나라에서 배척 당하고 있는 우리의 처지, 그리고 언제나 시급한 사목 업무들로 인해 이 두 가지 감각을 사용할 수가 없는 형편이다. 지금처럼 갇혀 사는 처지에 우리가 직접 볼 수 있는 것은 거의 아무것도 없으며, 우리가 만나는 사람들 가운데에 우리에게 풍습이나 관례를 익히게 해 줄 수 있는 유식한 사람도 거의 없다. 게다가 우리가 천주교를 실천하는 백성들과 접촉하는 일도 항상 스쳐 지나가듯 남몰래 이루어진다. 그러니 한 나라에 대해 명확하고 분명한 생각을 이룬다는 것을 어찌 기대할 수 있겠는가? 중국과 그 이웃 나라들에 대해 옛날에도 최근에도 많은 글들이 씌어졌다. 그 저자들마다 많은 연구를 한 다음 선의를 가지고 글을 썼으리라고 우리는 믿어 의심치 않는다. 다만 오늘날 부분적으로 인정되고 있듯이 수많은 사실들이 그릇된 색깔로 칠해졌었음을 고백해야 한다. 우리 자신도 똑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우리로 하여금 지극히 신중한 자세를 요구하고, 이 주제들에 대해 한 마디라도 꺼내는 것에 떨도록 만든다. 원한다면 순교사를 시작하기 전에 조선의 옛 왕조들과 그 분열에 대해, 그리고 현재의 문민 조직과 군사 조직에 대해 먼저 몇 마디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몇 쪽에 걸쳐 우리가 역대 임금들의 계보, 그리고 여러 고위직과 지방 수령직을 보여 주는 도표를 옮겨 놓은 것이 경우에 따라 무엇인가를 제공해 줄 수 있겠지만 그것은 매우 무미하고 건조한 것일 것이다. 우리가 풍속에 대해 몇 가지 사실들을 실로 묶은 종이에 적어 끼워놓은 것은 이용하라고 감히 말하지 못하겠다. 우리가 위험에 빠지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순교자들의 역사 끝부분에서는 내용을 간단히 몇 줄로 다시 요약하게 될 것이고, 마지막 문장은 책 전체를 요약하는 te martyrum candidatus laudat exercitus가 되어야 할 것이다.
진기한 자료들이 담긴 어떤 책을 읽어보면, 1631년 신미년에 북경에 사신으로 간 정두원이 Niouk Jean(Jean Luc?)이라는 이름의 97살 된 서양인을 보았는데, 아직도 건강하기 이를 데 없었고, 마치 신선들(노자를 따르는 종파에서 영생의 복을 누리는 자들) 가운데 하나인 듯 하였다고 한다. 그 사람은 분명 리치 신부의 동료들 가운데 하나였을 것이다. 그는 이 서양인으로부터 서양인이 만든 많은 학문 서적들, 그리고 권총, 망원경, 시계 등과 같은 진기한 물건들을 받았다. 이수(이수광?)는 호가 신풍으로 순교자 이 가롤로의 조상이며 조선 역사상 가장 유명한 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인데, 자신의 글에서 리치 신부가 쓴 <천주실의>(천주에 대한 진정한 원칙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는 이 책을 분석하면서 동시에 교황이 지휘하는 천주교회의 체제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1720년 경자년에는 또한 이이명이 북경에 사신으로 가서 여러 선교사들을 만났으며, 천주교에 대해 이야기를 남기고 있다. 그는 천주를 섬기고자 개심하려는 우리의 방법이 유생들의 종교가 권하는 방법들과 꽤 유사하며, 천주교를 노자의 종파와 동류로 보아서는 안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 다음 그는 그리스도의 강생을 Foe(역자 주,불교?) 교리와 비교하고 있다. 호가 성호이고 이가환의 종조부인 이익도 자신의 글에서 천주교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천주교인들의 신(神)은 유생들의 상제(上帝)와 다를 바 없고 천당과 지옥은 Foe 교리에서 빌어온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또한 칠죄종을 이기기 위한 칠성덕을 다룬 책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이 집안의 회고록들 속에 기록되어 있는 바에 의하면, 천주교 서적들이 처음 도입된 것은 사신단이 일본에 갔다가 한 He에서 서양인들을 만나, 망원경과 다른 진기한 물건들과 함께 받아 가져왔다고 한다. 이름이 약용인 정 요한은 천주교가 조선에 알려진 것이 李檗의 저 講學(les conferences de Ni Pieki)이 있기 200여년 전이라고 말하고 있다.
사량이라고도 불리는 홍유한의 생애
그는 1735년 또는 36년에 풍산 홍씨 집안에서 태어났다. 조상들은 중요한 직책을 맡았었고, 집안은 꽤 명문가였다. 어린 시절에, 유명한 이익의 가르침을 받았고 바른 행동거지를 배웠다. 1770년경 천주교 서적 몇 권을 접한 다음 희열을 느끼는 가운데 이 책들을 읽었다. 곧 바로 학문서적들을 팽개치고서 천주교를 실천하는 데 몰두했다. 그러나 그는 기도서가 없었고, 교회의 규칙들에 대해 너무 아는 것이 없었다. 단지 일곱날마다 축일이 반복된다는 사실만을 보았고, 그때부터 매달 7일, 14일, 21일, 28일이면 세속사에서 벗어나 기도와 독송에 전심전력했다. 소재(小齋)를 지켜야 하는 날도 알 수가 없었던 그는 항상 밥상 위에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좋은 것에 입을 대지 않곤 했으며, 사람들이 그 까닭을 물으면, “음식은 다 먹어서 좋다. 그러나 마음과 눈은 언제나 가장 맛있는 것으로 향한다. 탐욕은 나쁘기 때문에 나는 그것을 억제하려고 하는 것이다.”라고 대답하곤 했다. 하루는 말을 타고 어딘가 가고 있었는데, 한 노인이 무거운 짐을 지고 진창길을 가느라 힘겨워하는 모습을 보고서 측은한 마음이 들어, 말에서 내린 다음 노인을 억지로 말에 태우고 노인의 짐도 말에 실었다. 자신은 진창길을 걸어가느라 버선과 다른 의복들이 모두 젖었는데도 불구하고 힘들어하는 기색이 전혀 없었다. 한 번은 밭을 팔았는데, 두 달 뒤에 이 밭이 산사태로 망가져 버렸다. 그는 다른 사람들이 내 밭의 재앙 때문에 고생한다는 것은 당치 않다고 말하면서 땅값을 전부 돌려보냈다. 땅을 샀던 사람은 돈을 받기를 사양했지만 그가 끝내 고집을 부려 할 수 없이 돈을 받고 말았다. 몹시 추웠던 어느 겨울 그는 혼자 방을 쓰고 있었다. 그런데 하루는 여자 노비가 추위로 매우 고생하는 것을 보고서 자기 방에 들어와 자게 했다. 하지만 그의 부인이나 여종의 남편이나 그 일로 인해 아무런 의혹을 갖지 않았다. 그만큼 그는 처신이 엄격하고 공정한 사람으로 통했다. 처음에 예산에 살다가 성흥(?)으로 이주했고, 백산의 산중에 은둔하여 13년간을 살았다. 이곳에서 세상과 떨어져 조용히 종교적 수련에만 몰두했다. 그런 다음 예산으로 돌아가 그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朝鮮에 있어서 천주교의 起源에 관한 대부분의 사실을 우리가 얻어낸 자료들은 丁若鏞에 의해 수집된 것이다. 丁若鏞에 대해서는 자주 언급되는데, 그는 요한이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고, 천주교에 관한 거의 모든 일에 처음부터 관계하였으며 거의 모든 천주교 지도자들과 인척이거나 친구 사이였다. 학문과 관직에 있어 뛰어난 인물이었으나 천주교를 저버리는 나약함을 보였음에도 1801년 유배를 면치 못했다. 수년 후에 赦免을 받고, 열심한 신앙생활을 하면서 신심행위와 모범적인 苦行의 실천에 오랫 동안 온 힘을 기울였으며, 지극히 천주교신자다운 모습을 보이며 죽었다. 한 편으로 그는 天主敎에 관한 몇 가지 글을 남겼는데, 우리가 한 일은 대단히 잘 쓰여진, 그러나 애석하게도 너무나 짧은 그의 기록들을 단지 옮겨 엮은 것에 불과할 뿐이다.)
朝鮮王國에 天主敎를 胎動시키기 위해 하느님께서 사용하신 도구는 字를 德祖라 하고 號를 曠菴이라 하는 李檗이었다. 李檗은 慶州 李씨로, 高麗朝 때부터 이미 지위가 높았던 그의 조상들 가운데에는 학문이나 벼슬로 뛰어난 사람들이 여럿이었다. 그의 家門은 증조부 이후로 武官職에 종사하였고, 이 새로운 부문에서 중요한 직책들을 맡아오고 있었다. 檗은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많은 資質을 갖추고 태어났다. 그가 어렸을 때부터 부친은 武官 벼슬을 얻는 데 필요한 활쏘기, 말타기 등의 훈련을 시키고자 하였으나 檗은 죽는 한이 있더라도 하지 않겠다고 말할 정도로 끈질기게 거부하였다. 이 일로 그는 부친의 애정을 잃었고, 부친은 지나치게 고집이 센 그의 성격을 가리키는 ‘벽’이라는 이름으로 그를 불렀다. 자라면서 檗은 힘이 세고 체구가 건장해졌다. 키가 8척에, 한 손으로 백 근을 들어올릴 수 있을 정도였다. 활달하고 잘 생긴 그의 風采는 당당하였고 당연히 모든 사람의 시선을 끌게 되었다. 그의 재주도 이처럼 뛰어난 外樣에 지지 않을 정도여서, 유창한 言辯은 도도한 강물의 흐름에 견줄 만하였고, 모든 면에서 월등한 智力을 타고난 그는 오직 事物의 理致와 學說의 참된 토대만을 추구하였다. 언제나 事物의 根本을 파고드는 데 몰두하였으며, 어렸을 때부터 經典을 공부함에 있어 그 깊은 뜻을 파악하려고 애썼다. 이처럼 좋은 소질은 개인적으로는 빛나는 미래를 그에게 보장하고 있었다. 그는 일찍부터 당대의 가장 유명한 학자들이 쓴 책을 연구하는 데 몰두하였고, 자신의 일에 성공을 기하기 위하여 학문에 있어 자신을 도와주고 이끌어주고자 하는 모든 지식인들과 交分을 맺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관습이나 예의에 거의 얽매이지 않으면서도 고귀하고 고상한 느낌을 주었고, 그러면서도 농담을 좋아하였으며, 직업적인 학자들을 구별시켜주는 벼슬을 한 번도 한 일이 없었다. 이상이 당시 자료들이 우리에게 전해주는 李檗의 모습이다. 때는 1777년(丁酉年), 유명한 학자 權哲身이 丁若銓과 학문을 사랑하는 다른 여러 학구적인 양반들과 함께 심오한 학문연구를 위하여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거기에만 몰두하고자 어떤 절(pagode)에 들어갔다. 이 사실을 알게된 李檗은 기쁨으로 가득찼고, 그 뛰어난 사람들의 가르침을 누릴 수 있으리라 기꺼워하며 즉시 그들을 찾아가기로 마음을 먹었다. 때는 겨울이었다. 도처의 길은 눈에 덮여있었고, 거리는 백 리도 더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난관들이 학문과 지혜를 그토록 갈망하는 열렬한 마음을 멈추게 할 수는 없었다. 그는 바로 길을 떠났고, 험난한 길들을 나아가면서도 피로를 느끼지 않았다. 지는 해도 그가 열망을 실현시키는 것을 늦추게 할 수는 없었으며, 그는 밤길을 계속하여 마침내 자정 무렵에 한 절(pagode)에 다다랐다. 그러나 자신이 절(pagode)을 잘못 찾아왔고 산너머 반대편으로 가야함을 알았을 때 그가 얼마나 낙담했겠는가! 하지만 그는 용기를 잃지 않고 다시 발걸음을 재촉하였다. 밤중에 넘어야 할 산은 거대한 산이었고, 눈더미에 덮여있었으며, 수많은 호랑이가 접근을 막고 있었다. 그래도 상관없다! 檗은 모든 승려들을 깨워 자신과 동행하게 하였다. 맹수의 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손에는 쇠를 박은 몽둥이를 들고 길을 계속하여, 짙은 어둠을 뚫고 마침내 그토록 바라던 곳에 도착하였다. 이토록 奇異한 도착은 첩첩 산 중의 한 중심(dans le sein des montagnes)에 외따로 떨어져 있으면서(isole) 폐허가 되어 못쓰는(perdu) 건물(edifice)에 居하고 있던 사람들에게 두려움을 불러일으켰다. 어떤 연유로 그렇게 많은 손님들이 때아닌 시각에 찾아왔는지 상상할 수 없었다.
(卞基榮 神父 註:단어 풀이:l'edifice isole et perdu: 외따로 동떨어져 있고, 폐허가 되어 쓰지 않는 凶家나 廢刹을 의미한다. 講學 당시 天眞菴은 鶯子山 서북쪽 한 중심 계곡에 하나밖에 없는 쓰지 않는 건물이었다는 뜻이다. 폐허가 되어 못쓰는 건물에 권철신 같은 대학자가 寓居한다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鶯子山 동남쪽에는 불과 몇백 미터 간격으로 走魚寺, 樊魚寺, 鳳台庵, 日出庵, 石伊庵, 등이 있었으므로, “calme혹은 tranquille” 즉 “고요하고 적막한 절간”이라고 부를 수는 있어도, “외따로 동떨어져 있고, 폐허가 되어 못쓰는 건물”이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곧 모든 것이 밝혀지자 기쁨과 환희가 두려움의 뒤를 이었으며, 그토록 즐거운 만남으로 인해 이야기꽃을 피우느라 이미 날이 새고 있는 것도 모를 지경이었다. 이 모임은 열흘이 넘게 계속되었는데, 하늘과 세상과 인간본성 등에 관한 모든 문제들이 깊이 다루어졌고, 모든 의문점들과 先賢들의 의견이 논의되었다. 그 위에 偉人들의 倫理經典들에 대한 硏究와 講學(les etudes et conferences)이 이루어졌고, 유럽사람이 漢文으로 쓴 철학서적과 수학서적 몇 권을 검토하기에 이르렀는데, 이 책들을 깊이 연구하매 온갖 정성을 다 기울였다. 마침내 연구와 토론은 그리스도교에 관한 몇 권의 초보적인 서적에까지(이 책들은 어디서 온 것이었을까?) 미치게 되었다. 이 서적들이 어디서 온 것인지 정확히 알지는 못한다. 당시 그들은 하느님의 존재와 攝理, 영혼의 靈性과 不滅性, 七罪宗을 그에 상대되는 일곱가지 德으로 물리치는 修行法 등을 다룬 몇 권의 槪論書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었다. 中國經典들의 막연하고 모호한 학설에 익숙해있었어도 眞理를 渴望하던 그 곧은 사람들은 우리 聖敎의 기초원리를 검토하자마자 그 敎理에 담긴 위대하고 아름답고 확실한 모든 것을 어렴풋이 알게 되었다. 책이 없었으므로 이 교리를 더이상 깊이 연구할 수는 없었지만 그들의 마음은 즉시 감동되었고 신앙에 눈을 뜨게 되었다. 이렇듯 眞理는 언제나 그 標識를 同伴하는 것이 사실이다. 언제나 진리의 빛은 이를 찾는 모든 이들의 눈에 빛나고, 곧은 마음을 가진 사람이라면 진리가 행복의 싹처럼 심어주는 느낌에 무감각할 수 없는 법이다. (자기 나라에서 학문에 가장 앞서가는 사람들이 진리를 알게된 것을 보자니 얼마나 아름답고 흐뭇한가!) 이리하여 지혜를 추구하던 우리 주인공들은 聖敎에 젖어들게 되었고, 그 명확한 원리에 매료되었다. 그들은 聖敎의 모든 戒律을 즉시 실천에 옮기기를 바랐겠지만, 당시 가지고 있던 책들이 그들을 지도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였으므로, 매일 아침 저녁 엎드려 ?想에 잠기는 것으로 만족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다가 7일마다 하루씩 天主께 바쳐진 날이 있다는 것을 어디선가 보아 알게 되자, 매달 7일, 14일, 21일, 28일 모든 세상일을 중단하고, 영혼 수련에 대해 생각하면서 小齋를 지켰다. 그들이 이러한 수련을 얼마동안이나 지속했는지는 모르지만, 그들은 다른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고 극비리에 이를 행하였다. 그런데 뒤이은 사실들에 비추어볼 때 적어도 그들중 대부분은 이를 오래 지키지는 못한 듯하다. 檗의 열렬한 마음에 풍요로운 씨앗이 심어졌다. 이러한 시작이 얼마나 보잘것없는지 그는 느끼고 있었고, 그의 모든 생각과 시선은 시작된 과업을 완수하는 데 필요한 책들을 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던 中國을 향해 있었다. 이러한 조바심 가운데 몇 년이 흘렀고, 그가 목표에 다다르기 위해 바친 노력에 관해서는 우리에게 알려진 바가 없다. 1783년 초여름, 4월 보름날, 누이의 忌日을 맞아 마재 丁씨네에 갔다가 한양으로 돌아오는 길에, 檗은 丁氏 두 형제 若銓, 若鏞과 함께 배에 올랐다. 한양까지 오는 동안 그들의 주된 관심은 여전히 철학적 대화와 연구였다. 조선의 책 몇 권을 검토한 다음, 그들의 정신은 서양인들의 學說에 이르렀다. 그들은 天地와 인간의 창조, 영혼의 靈性과 不滅性, 그리고 來世에 천당과 지옥에서 받는 賞罰 등의 道理에 대해 차례로 자세히 토론하였다. 모든 사람이 이 道理의 참됨을 인정하고 믿게 되었으며, 그토록 아름답고 기분좋은 진리를 처음 듣는 여행객들도 모두 놀라고 기뻐하였다. 그 무렵에 이런 토론모임이 되풀이 있었으리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고, 또 檗의 끓는 열정이 휴식을 취하지 않았을 터이지만, 상세한 내용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확실한 사실은, 당시 조선에 들어와 있던 西學 서적들에 대해서, 그리고 또한 천주교에 관한 몇 권의 서적들에 대해서 대부분의 지식인들이 보았거나 이야기를 들었다는 것이다. 그런 책들에 관심을 갖는 것이 유행이었는데, 문헌들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조선인들은 北京에 연례적으로 가던 사절단을 통해 중국과 교류를 하면서 새로운 학문에 접할 기회가 자주 있었던 것이다. 이로 미루어 천주교 敎理의 초보적 개념들이 널리 유포되어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는데, 당시의 서적들은 聖敎를 자세히 소개하는 것은 아니었다.) 진지한 마음으로 天主를 찾는 사람들을 결코 저버리지 않는 天主께서는 그해를 곧은 영혼들의 소원이 이루어지도록 허락하는 해로 삼으셨다. 그해 1783년 겨울 李東郁이 北京 朝廷에 가는 書狀官으로 임명되었고, 아들 李承薰도 따라가게 되었다. 장차 여러 해에 걸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될 이 대단한 인물에 대해 소개할 시점이 지금이다. 李承薰은 字가 子述이고, 平昌 李氏 양반 가문 출신으로, 조상들은 文官의 要職을 자주 맡았었으며, 그의 家門은 높은 평판을 얻고 있었다. 1756년(丙子年)에 태어난 李承薰은 열 살때부터 문장에 재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열아홉, 스무 살에는 벌써 온 나라에 뛰어난 학자로서 명성을 떨쳤다. 옛 聖賢들의 뒤를 따르고자 했던 李承薰은 학문과 品行이 더 나은 사람들과 교제하였으며, 學識을 높이는 일 뿐 아니라 品性을 가다듬는 데에도 애를 썼다. 李檗과도 아는 사이였지만 취향이나 성품이나 공부의 차이로 인해 아주 가까운 사이로 지내지는 못하였다. 25세 되던 1780년(庚子年)에 進士가 되었고, 모든 사람들이 그를 주목하는 바가 되었다. 李檗은 承薰이 北京使節團에 아버지를 따라가게 되었다는 것을 알고 매우 기뻐하며 즉시 承薰을 찾아갔다. 당시의 자료에 의하면 그는 李承薰에게 이런 주목할 만한 말을 하였다고 한다. “자네가 北京에 다녀오게 된 것은 참된 道理를 알도록 하늘이 우리에게 주시는 절호의 기회일세. 萬物의 創造主이신 上帝를 恭敬하는 데 대한, 그리고 여러 聖人들에 대한 道理는 西歐人들이 가장 높은 경지에 이르러 있네. 이 道理 없이 우리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네. 心性을 바로잡을 수도 없고, 事物의 원리를 깊이 알 수도 없네. 그것이 아니면 임금과 백성의 여러 가지 의무를 어찌 알겠는가? 그것 없이 생활의 원칙도 없고, 天地의 창조, 天體의 물리적 질서와 규칙적 運行, 兩極의 질서 등을 우리가 알지 못하네. 天使와 惡靈의 구별, 세상의 始初와 終末, 靈肉의 결합, 善惡의 理致, 죄를 赦하기 위한 天主聖子의 降生, 善人에 대한 천당 報償과 惡人에 대한 地獄罰 등 이러한 모든 것을 우리가 전혀 알 수 없다네.” 천주교 서적을 아직 보지 못했던 李承薰은 이러한 말에 크게 놀라고 감탄하면서 그런 책을 몇 권 보자고 하였다. 그는 천주의 존재와 標徵에 대한 초보서적들과 <七克>을 훑어보고 난 뒤, 행복감에 사로잡혀 기쁨을 억누르지 못하면서 檗에게 무엇을 해야 할 지 물었다. 檗은 承薰에게 이렇게 말을 계속하였다. “자네가 北京에 가게 되었음은 天主께서 우리나라를 불쌍히 여기시면서 구원하고자 하심을 나타내는 표시일세. 도착하거든 바로 天主堂을 찾아가 서양 선비들과 상의하여, 모든 것에 대해 물어보고, 그들과 함께 교리를 깊이 연구하여 천주교 실천에 대한 모든 것을 상세히 알아오며, 필요한 책들을 가지고 오게. 生死에 관한, 즉 來世에 관한 莫重之事가 자네 손에 달려있으니, 가서도 가벼이 행동해서는 아니 되네.” 承薰은 가슴 깊이 파고드는 이러한 말을 열심히 새겨들었고, 이를 大道師, 스승의 말씀(la parole du Maitre)처럼 받아들였으며, 공동의 소원을 이루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 할 것을 약속하였다. 檗이 한 말을 살펴보면, 檗은 서양학문과 천주교에 똑같이 목말라하고 있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많지 않은 말 속에서도, 그의 智力은 이미 천주교를 세계와 사회의 토대로 이해했음을 엿볼 수 있으며, 이번 일이 그에게는 오직 唯一無二하게 긴요한 일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것은, 그가 곧 시작하게 될 大業, 즉 처음으로 천주교의 씨앗을 전파하는 大業을 위하여 天主의 恩寵이 이 사람을 이미 준비시키신 것이다.<번역 : 김형래 교수>
(卞基榮 神父 註:단어 풀이:프랑스어 원문에 나오는 “Maitre”라는 말은 영어(master), 프랑스어(maitre), 이태리어(maestro), 등에서, “스승”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원문의 la parole du Maitre 와 같이, 첫 글자를 大文字로 쓰게 되면 일반적 의미의 “스승”이라는 뜻이 아니라, 孔子, 孟子, 예수, 釋迦牟尼, 소크라테스, 같은 인류의 위대한 大聖賢君子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승훈 선생이 이벽선생의 말씀을 大聖賢의 권위있는 말씀으로 받아들였다는 뜻이다. )
Daveluy 주교의 朝鮮殉敎史 備忘錄 序文의 위 우리말 번역문은 김형래 교수가 번역한 것이다. 原文제목은 Notes pour l\\\'histoire des martyrs de Coree vol 4 (pp. 5 - 29).
|